2025 변경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총정리 : 용량·개수·승인 기준
2025년 3월부터 국내외 항공사들의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이 더욱 엄격하게 변경되었습니다. 용량에 따라 반입 가능 여부, 승인 필요 여부, 허용 개수까지 명확하게 규정되었으며, 실제 화재 사고 이후 강화된 조치도 함께 시행되고 있습니다. 출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최신 규정을 정리해드립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본 원칙 (2025년 기준)
-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로 절대 불가, 반드시 기내 반입만 가능
- 개별 용량에 따라 반입 여부가 달라짐
- 외부 노출된 단자 단락 방지 필수 (절연 테이프, 전용 파우치 등)
용량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허용 기준
용량 (Wh) | 기내 반입 여부 | 항공사 승인 필요 | 최대 허용 개수 |
---|---|---|---|
100Wh이하 | 가능 | 불필요 | 최대 5개 |
100~160Wh | 가능 | 사전 승인 필수 | 항공사별 상이 (1~2개) |
160Wh 초과 | 불가 | 불가 | 없음 |
- 100Wh(와트) : 27,000mAh(암페어)
- 1,600Wh(와트) : 42,000mAh(암페어)
- 대부분의 일반적인 보조배터리는 20,000mAh(약 74Wh) 수준으로, 반입에 문제가 없습니다.
항공사 승인 절차 (100Wh 초과 시)
- 항공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사전 승인 요청
- 탑승일 최소 48시간 이전 요청 권장
- 승인이 필요한 경우, 보조배터리 모델명, 용량, 제조사 등 정보 제출 필요
보조배터리 반입 시 주의사항
- 외부 단자 노출 방지: 절연 테이프, 지퍼백, 전용 파우치 사용 권장
- 충전 상태에서 탑승 금지 (기기 연결 X)
- 승무원이 요구 시 즉시 분리 가능한 상태 유지
마무리
2025년 이후 항공 탑승 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위반으로 인해 벌금 또는 탑승 제한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전에 용량 확인, 승인 절차 숙지, 안전 조치를 철저히 준비해두면 문제 없이 반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참고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 준비하세요!
댓글